무상으로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신고하기 위해서 무상거주사실 확인서를 사용합니다.
금융기관이나 행정기관에 신고를 하는 상황에서 작성을 하는데요.
무상거주사실확인서 양식을 pdf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사유를 작성해서 방문 및 모바일로 제출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가까운 주민센터에 방문해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무상거주사실확인서 작성 사유
지역보험료를 납부하지 않기 위해서 제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상을 조건으로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빙하면 의료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전월세에 대한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됨.)
작성 사유는 다양합니다. 1. 가족이나 친인척의 집에 무상으로 거주할 때 2. 계약하는 당사자와 거주하는 사람이 다를 때 3. 회사나 대학교 기숙사에서 거주할 때 등이 있습니다.
작성 방법
1. 납부자번호 입력 : 건강보험료 납부번호 기재합니다.
2. 인적사항 기재 : 성명, 생년월일 및 연락처를 작성합니다.
3. 무상거주기간 및 사유를 입력합니다.
4. 건물 소유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합니다.
내 납부번호 조회하러 가기 ➡️*신청인 부분에는 무상으로 건물을 대여해 준 사람의 서명이나 날인이 필요합니다.
무상거주사실확인서 양식
제출 방법
1. 건강보험공단지사 방문 제출
가까운 건강보험공단지사에 방문해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지역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지역본부 찾기 ➡️2. 문자민원접수서비스(MO) 촬영 후 제출
The 건강보험앱을 통해서 ‘모바일팩스 보내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민원서류를 사진 찍어서 제출하면 됩니다.
*MO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 입력해서 사진으로 문자 제출이 가능합니다. (번호는 1668로 시작합니다.
우리지역 MO번호 조회 ➡️함께 보면 좋은 글
임대차계약서 인터넷 발급 방법 | 분실시 이렇게 하자!
FAQ
세대분리를 위해서 무상거주사실확인서를 작성하나요?
네, 맞습니다.
무상거주사실 확인서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 사본, 주민등록등본, 인감증명이 필요합니다.
사유를 적는 칸에는 뭐라고 적나요?
비용 부담 등 솔직한 이유를 작성하면 됩니다.